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신장 질환12

신장의 사구체 질환, 사구체 손상의 병인 사구체는 여러 인자에 의해 손상 받을 수 있습니다. 전신적인 면역학적인 질환이나 혈관 질환, 대사성 질환 그리고 유전질환에 의해서도 사구체가 손상됩니다. 이러한 이차적 사구체 질환은 사구체 단독으로 또는 주로 사구체만을 침범하는 일차적 사구체 질환과 구별됩니다. 사구체신염은 다양한 형태학적 소견을 나타낼 수 있으며, 여러 종류의 사구체 신염이 유사한 형태학적 소견을 나타내는 경우도 있습니다. 사구체 질환의 분류(조직학적 병변에 근거를 둔 분류) 원발성 사구체 신염 이차성 사구체 신염 유전성 장애 급성 미만성 증식성 사구체신염 연쇄구균감염 후 사구체신염 비연쇄구균감염 후 사구체신염 급진행성(반월형) 사구체신염 막사구체신염 최소변화콩팥병증 국소 사구체경화증 막 증식 사구체신염 국소 증식 사구체신염 IgA 신.. 2022. 8. 19.
신장질환의 선천기형 신장질환의 선천적 기형 약 10%에서 요로계의 기형을 가지고 태어납니다. 신장형성이상과 신발육부전은 소아의 만성 신장기능상실증의 20%를 차지하고, 다낭성 신장질환은 신장기능상실증의 10%를 차지합니다. 선천성 신장질환은 유전적일 수도 있으나 대부분 임신 중 발육과정이 잘못되는 후천성 발육이상입니다. 선천기형의 종류에는 신무발생증, 신 발육부전, 딴곳신장, 마제신 등이 있습니다. 신무발생증(신무형성, agenesis of the kidney): 조후신조직은 존재하나, 영구신으로의 발육이 부족하여 거의 태생아의 모양을 멈추고 있는 것이다. 신 발육부전(신장 저형성, renal hypoplasia): 형태학적으로는 정상이나, 작거나 딴곳신장(이소신장, ectopic kidney): 신장의 상승과정에 이상이 .. 2022. 8. 19.
신장질환의 주요 증후군 -급성 신염증후군 -신증후군 -무증상 혈뇨 및 단백뇨 -급성 신장 기능 상실 -만성 신장 기능 상실 -신세뇨관 장애 -요로 감염 -신장돌증 급성 신염증후군 급성 신염 증후군(acute nephritic syndrome)은 급성으로 육안적 혈뇨, 미량 또는 중등도의 단백뇨 및 사구체 여과율 감소, 고혈압을 특징으로 하며, 이는 급성 사슬알균감염 후의 사구체 신염 시 나타나는 전형적인 증상입니다. 신증후군 신증후군(nephrotic syndrome)은 다량의 단백뇨(하루에 3.5g 이상), 저알부민혈증, 심한 부종, 고지방혈증 및 지방뇨를 특징으로 합니다. 무증상 혈뇨 및 단백뇨 무증상 혈뇨 및 단백뇨(asymptomatic hematuria and proteinuria)는 미약한 사구체 기능 이상 시의 증.. 2022. 8. 19.
신장 질환 신장질환의 임상적 형태는 침범하는 신장의 구성성분, 질병의 급성 정도 및 신손상의 기전 등에 따라 다릅니다. 질소혈증은 사구체 여과율의 감소로 인한 혈중 요소질소와 크레아티닌이 상승한 상태입니다. 신전성 질소혈증은 울혈심장기능상실, 쇼크, 혈액량 감소 및 출혈 등 신장의 저관류 상태로 인해 신실질의 손상없이 기능저하가 초래되는 것이며, 신후성 질소혈증은 신장 하부에서 소변의 흐름이 막히는 경우 생기나 그 원인이 교정되면 회복이 가능합니다. 질소혈증이 여러 가지 임상증상, 증후 및 생화학적 이상을 동반하면 요독증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요독증은 단순한 생화학적 이상이 아닌 임상증후군이며 신장의 배설기능의 이상 뿐만 아니라 대사성, 내분비 기능 장애, 위장관계, 신경근육계 및 심맥관계에도 장애가 초래됩니다. .. 2022. 8.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