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장 질환

요관, 방광, 요도의 질환

by 잊혀진숟가락 2022. 8. 21.
반응형

요관의 질환

1) 염증

요관염(ureteritis)은 요로 감염의 일부로서 비특이적 염증으로 나타납니다. 지속적이거나 반복적인 급성 염증이 생기면 요관내 만성 염증성 변화가 초래됩니다.

2) 요로 결석

발현 빈도가 높은 요로 결석은 요관 결석이나 방광 결석이지만 대부분은 신장깔때기에서 형성된 후 이동된 결석입니다.

3) 종양

원발성 종양은 매우 드물며 대부분 악성 종양이고 다른 장기에서 전이된 종양이 더 많습니다.

  • 양성 종양: 섬유조직, 혈관, 림프관 및 평활근 등 중간엽조직에서 유래된 종양으로서 피막이 있고 직경이 1cm이하의 점막하 결절로 관찰됩니다.
  • 악성 종양: 요관의 상피는 이행상피로 피복되어 있으므로 이행상피암이 발생합니다. 때로 다발성이며 동시에 발생하기도 합니다.

4) 폐쇄성 병변

내인성 폐쇄성 질환으로는 요관 결석, 요관 협착, 종양성 종괴 및 심한 혈뇨로 인한 혈병(blood clot)등이 있습니다. 외인성 폐쇄성 지환으로는 임신, 자궁내막증, 종양, 염증 및 경화성 후복막염(경화성 섬유종증) 등이 있습니다.

 

방광의 질환

선천성 이상

방광(urinary bladder)의 게실(diverticulum), 방광 외반증(exstrophy), 방광 요관 역류(vesicoureteral reflux) 등이 있습니다.

급성 및 만성 방광염

방광염(cystitis)의 가장 흔한 원인균은 대장균이며,  Proteus, Klebsiella, Enterobacter 순입니다. 세균성 신우신염은 흔히 방광염이 선행되는 상행감염이며, 결핵성 방광염은 신장 결핵의 후유증으로 발병합니다.

여자는 요도가 짧기 때문에 요도의 상처를 따라서 세균이 감염되기 쉽고 비특이적인 급성 방광염을 일으킵니다. 남자에서는 전립샘 비대증 등의 요로를 협착시키는 질병이 있거나 도관법(catheterization)등의 외과적 시술시에 점막의 손상으로 감염이 잘 생깁니다. 

임상적으로 방광염은 빈뇨(frequency), 방광 부위인 하복부 또는 치골 상부의 동통, 배뇨통과 같은 특징적인 증상을 보입니다.

화생

요상피는 결석, 방사선 조사 및 여러 종류의 약물 대사산물의 배설 등으로 비특이적 염증, 감염, 증식, 이형성 및 화생성 변화를 보입니다. 방광 점막의 샘상피화생(glandular metaplasia), 신성 화생(nephrogenic metaplasia) 및 편평 화생(squatmous metaplasia) 등이 관찰됩니다. 이런 변화가 지속되면 암으로 진행됩니다.

종양

방광 종양의 95%가 상피세포 기원이며, 나머지가 중간엽조직의 종양입니다.

  • 양성 간엽성 종양

섬유종이나 평활근종 등이 드물게 관찰됩니다.

  • 요로상피(이행상피) 종양

방광 종양의 90%가 요로상피세포 기원종양(urothelial, transitional cell tumor)이며, 편평세포암종은 3~7%, 그 외 샘암종 및 소세포암은 드물게 관찰됩니다. 이행세포종양에는 양성 유두종, 저등급 악성 종양 및 고등급의 침윤성 종양이 포함됩니다. 다발성인 경우가 흔하고, 대부분이 방광 내강으로 돌출하는 유두상 증식을 보입니다.

조직학적 분화정도에 따라 다음과 같이 4가지 등급으로 나눕니다. 즉, 양성인 이행세포 유두종과 악성 이행상피암은 등급 1, 등급 2, 등급 3으로 분류합니다. 조직학적 등급에 따라 생물학적 악성도에 따음과 같이 차이가 있습니다. 유두종 및 등급 1의 암종은 10년 생존율이 98%이며, 등급 3 종양은 40%입니다.

방광암의 위험도를 높이는 인자로는 흡연, 화학적 발암물질인 arylamines에 노출, 주혈흡충(schistosoma haematobium)감염, 오랜 기간의 진통제 및 면역억제제인 cyclophosphamide 투여 등이 있습니다. 

주 증상은 무통성 혈뇨이나, 빈뇨, 절박뇨(urgency) 및 배뇨시 동통 등이 관찰되기도 합니다.

 

요도의 질환

염증

요도염(urethritis)은 임균성 및 비임균성으로 분류됩니다. 비임균성 요도염의 빈도가 많고, 원인으로는 대장균이 가장 흔합니다. 여자에서는 방광염이 동반되는 예가 많고, 남자에서는 전립샘염이 흔히 동반됩니다. 소구(caruncle)는 여자의 요도에 발생하는 동통을 동반하는 염증성 병변입니다. 조직학적으로 확장된 혈관으로 구성되어 있어 혈관종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종양

바이러스가 원인인 유두종이 요도 주변에 관찰되기도 합니다. 악성종양으로는 편평세포암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드물게 샘암이 관찰되기도 합니다.

반응형

댓글